전임 연구진

  • 김정곤 (연구 팀장)

  • 김정곤 교수는 산/학/연 전 영역에 풍부 한 경험을 가진 합성 화학 연구자이다. 한국과학기술원에서 학사(2001)를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에서 유기 비대칭 합성 연구로 박사학위(2005년)를 취득하였다. 이후 6년간 국내 기업 연구소에서 유기 발광 소재개발(LG화학)과 고분자 제조 공정(삼성 제일모직)을 연구하였다. 코넬 대학교 화학과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서는 친환경 이산화탄소 활용 고분자 합성 촉매와 활용 연구를 하였으며, 기초과학연구원에서는 탄소-수소 활성화 및 새로운 실리콘 고분자 합성 촉매 개발을 수행하였다. (전화 063-270-3413)

  • 김경수

  • 김경수 교수는 소재화학 전공자로 한국과학기술원에서 학사(2008) 및 박사학위(2014)를 취득하였다. 이후 3년간 기초과학연구원에서 나노탄소물질 합성 및 구조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7년부터 본교 화학과에서 연구활동을 지속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나노구조 물질을 기반으로 환경 및 에너지 생성을 위한 촉매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전화 063-270-3423)

  • 김동연

  • 김동연 교수는 계산화학 전공자로 다양한 계산과학 기법을 활용해 촉매 및 배터리 등의 차세대 에너지 소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소재와 물질 본래의 성질과 작동 원리 등을 규명하며, 소재 디자인, 전산 스크리닝, 그리고 소재 역설계 등의 연구를 수행 중이다. 박사학위 수여 후, 3년간의 포스닥 및 연구교수 생활을 거쳐 2024년부터 본교 화학과에서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전기화학 반응 기반의 다양한 에너지 소재 (배터리 음극 및 전극 촉매)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전화 063-270-3427)

  • 서영준

  • 서영준 교수는 핵산화학의 전문가다. 아주대에서 석사과정 유기화학을 전공하였고, 포항공대와 스크립스 연구소에서 박사 및 박사후연구과정동안 유기합성을 이용한 핵산화학을 연구하였다. 본교 화학과에 부임한 이후에는 새로운 합성 DNA와 RNA를 만들기 위한 연구를 진행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합성 DNA를 이용하여 응용분야로 유전자 분자 진단 약물의 개발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전화 063-270-3417)

  • 이승재

  • 이승재 교수는 생화학자로서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을 연구하고 있다. 질병 및 환경 유해 물질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원자수준의 생물리화학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전북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 후 매릴랜드 주립대에서 생화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메사츄세츠 공과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금속단백질 메커니즘 규명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3년부터 본교 화학과에서 생화학 관련 강의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전화 063-270-3412)

  • 이안나

  • 이안나 교수는 유기합성화학자로서, 유기화학 전반에 걸친 다양한 유기합성 및 촉매반응 연구 분야의 전문가이다. 한양대 학사 (화학), 서울대 석사 (유기화학), 독일 Max-Planck-Institut für Kohlenforschung 에서 박사 (유기합성)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Northwestern Univ. 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2015년부터 명지대에서 독립적인 연구를 시작하였다. 2020년 전북대로 이직하여 지속가능한 화학 반응 방법론 연구 및 친환경 유기합성 반응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전화 063-270-3415)

  • 조경빈

  • 조경빈 교수는 밀도범함수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계산 및 양자/분자 역학(quantum mechanics/molecular mechanics; QM/MM) 계산으로 금속-효소의 활성 중심 및 활성 중심을 모방하는 모델 화합물들을 연구하는 계산 화학자이다. 스웨덴 교포로서 스톡홀름 대학에서 물리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 생물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박사후연구원으로 캐나다의 윈소르 대학 및 이스라엘의 히브리 대학에서 QM/MM으로 효소반응메커니즘 규명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연구교수로 효소 모방 시스템을 DFT로 연구하였다. 본교에서는 바이오 시스템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중이다. (전화 063-270-3357)

  • 진다솔

  • 진다솔 교수는 전기분석화학 전공자로,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사(2019)와 박사(2023)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코넬대학교 화학과에서 박사후 연구원(2023–2025)으로 재직하며, operando 전기화학 분석 기법을 활용한 전극 계면 반응 메커니즘 파악 연구를 수행하였다. 2025년 전북대학교 화학과에 부임한 이후에는,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전극 촉매 설계 및 최적화를 통해 에너지 전환 및 저장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전화 063-270-3419)

  • 한재량

  • 한재량 교수는 실험물리화학자로서 화학 물질의 원자 수준 물성 연구에 탁월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포스텍에서 학부와 대학원을 마치고(1998년 박사, 주사터널링현미경 STM 장비 제작 및 연구), 이후 미국 코넬대학교 물리학과, UC Irvine 물리학과, 서울대학교 화학부에서 박사후 연구원과 연구조교수로 활동한 뒤, 2002년부터 본교에서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최근에는 광촉매 및 전기촉매 물질 합성, 수소 및 산소 생성 반응, 물성 분석 및 응용뿐만 아니라 극저온 주사터널링현미경을 활용한 화학 물질의 시공간 분자동력학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전화 063-270-3410)

    행정

  • 허미영 (전화 063-270-3409)

  • 신진연구인력

    researcher.png

    연도별 참여인력

    participants1.png
    participants2.png
    participants3.png
    participants4.png
    participants5.png
    participants6.png
    participants7.png
    participants8.png
    participants9.png
    participants10.png
    participants11.png
    participants12.png
    participants13.png
    participants14.png

    Last updated in Sept. 2025